README.md 라는 파일을 추가합니다. *. md 파일은 마크다운이라는 확장자 파일을 의미합니다.
파일이 생성되면 파일명이 초록색으로 보이게 됩니다.
초록색: 버전 컨트롤이 되고 있는 추가된 파일
회색 : 버전 컨트롤이 안되어지고 있는 파일, .gitignore 에 추가된 파일
파란색 : 버전 컨트롤이 되고 있는 기존 파일에서 수정이 일어났을 때
추가된 README.md 파일을 서버로 올릴때 2단계를 거쳐서 올라가게 됩니다.
commit: 서버로 올라가지 않고 내 컴퓨터에만 정보가 남게 됩니다.
push: commit 된 요소들을 서버로 올립니다.
파일을 추가하기 전에 추가한 파일을 git에서 관리하고 있는지 확인을 먼저 합니다.
$ git status
위에 명령어로 실행하고 되면은 터미널 창에 우리가 추가한 파일이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나타나게 됩니다.(추가된 파일을 git 은 모르고 있다는 의미)
$ git add .
$ git status
위에 명령어로 실행하고 나면 파일이 git에서 제대로 버전 컨트롤할 수 있도록 추가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 (여기서 git add . 이라는 의미는 모든 폴더를 추가한다는 의미입니다.)
commit 은 보통은 작업 단위로 이루어집니다.
$ git commit -m "<입력할 메세지>"
// 아래와 같이 메세지를 남길 수 있습니다.
$ git commit -m "README.md 파일 추가하기"
위에 명령어를 실행 후 git status 명령어로 실행해보면 추가했던 파일이 사라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(commit 단위로 파일 변경이 일어난다는 것을 의미, 특정 commit을 가져 올 수도 있고, 이전으로 돌아가거나 할 수 있습니다. 이를 이용하여 파일의 버전 컨트롤이 가능해집니다.)
commit 작업 후 작성한 파일이 서버로 올라가지 않고, push라는 작업을 실행해주면 서버로 반영이 됩니다.
commit 한 파일을 main으로 올립니다.
$ git push origin main
위에 명령어를 실행 후 레파지토리 페이지를 확인해보면 추가한 파일이 추가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